치아이야기

치열 및 교합의 발육

빨간구두씨 2022. 6. 1. 09:48
반응형

1. 치열 및 교합의 발육

1. 발육단계 

사람에서 치열의 발육단계는 다믕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무치열기

2)유치열기

3)혼합치열기

4)영구치열기

 소아기의 치열 및 교합의 발육변화는 신체의 성장 발육과 마찬가지로 변화가 현저하며, 또 치열과 교합은 안면두개의 성정에도 관여하고 있다. 이것은 각 치아의 형성과 맹출에 따른 유치열의 형성, 그리고 환합치열의 시기를 거쳐 영구치열로 이행해 가는 시기이다.또 발육속도는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며 개인차가 크다.치과위생사는 이러한 변화가 심한 소아기의 치열 및 교합의 각 발육단계에 대한 특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1)hellman 의 교합발윤단계(치아연령,치령)

소아의 교합발육단계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으나, 소아치과영역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hellman의 교합발육단계라 불리는 평가법이 있다.치아의 발육은 개인차가 있어 달력나이로 비교하면 불합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치아의 발육상태에 의해 치아연령(dental age)이 만들어졌다. 즉 hellman은 유치 및 영구치의 최후 구치의 맹출을 기초로 하여 치열, 교합의 발육단계를 나타냈다. 최후 구치의 맹출개시를 C(commence),맹출완료를 A(attain), 그 사이가 B(between A and C라는 뜻)이다.

2. 유치열기의 특징

1) 무치기 출생한 후 치아가 처음으로 맹출하기까지의 시기를 무치기라고 한다. hellman의 교합발육단계에서는 유치 맹출전의 시기에 해당하며 6개월 정도까지 이다.

(1) 악간공격 

출생시에는 상하악을 닫은 상태에서도 전치부의 치조제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일정한 간격이 존재한다. 이 간격을 악간공격이라고 한다, 혀는 이공격을 통해 구순점막 및 협점막과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 상하악 치조제의 근원심적 대향관계는 출생시에는 하악 치조제가 상악 치제조의 원심에 위치하고 있으나, 유치가 맹출함에 따라 전후적인 차가 없어지게 된다.

 

2)유치열기

생후 6개월 경부터 6세 경까지 이다. 즉 유치가 맹출을 개시하여 유치열이 완성되고 나서 영구치가 맹출을 개시하기 전까지의 기간이다. 상하악 유정치의 맹출과 함께 전치부는 악간 공격이 없어지게 된다. 유전치의 피개는 영구치에 비해 얕으며, 절단교합인 경우가 많다. 유치가 맹출하는 시기에는 치열궁 장경과 폭경이 커지지만, 유치열 교합의 완성기부터 영구치가 맹출할 때까지는 치열궁의 변화가 없이 교합이 안정되어 있는 시기이다. 또 후속영구치는 석회화가 진행된다. 이시기에는 치열 및 교합에 다음과 같은 특징이 관찰된다

(1)치간공격

 유치열궁에는 상하악 모두 치간에 생리적 공격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공격을 발육공격 이라고 한다. 다음에 기술하는 영장공격 이외의 치간공격은 모두 발육공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유치열궁에 치간공격이 존재하는 치열궁을 공간형이라고 하고, 공격이 없는 치열궁을 폐쇄형이라고 한다. 치간공격은 작은 유치가 큰영구치로 교환될때의 공간조정에 이용된다. 폐쇄형 치열궁이 모두 부정교합(교합이상)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치열궁의 치간공격에는 이밖에도 특유한 공격이 있다. 상악에서는 유측절치와 유견치 사이, 하악에서는 유견치와 제1유구치 사이에 있는 공격을 영장류공격이라고 한다,영장류공격과 발육공격의 존재는 서로 관계가 없다. 한쪽만 있는 경우와 양쪽이 모두 있는 경우가 있다.

(2)Termina plan

 유치열 교합에서는 중심교합위일 때 상하악 제2유구치 원심면의 근원심적 위치관계를 평가하고 있다. 이것을 terminal plane이라고 한다. terminal plane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형이 있다.

 가. 수직형 : 상하악 제2유구치 원심면이 교합평면에 대해 수직면을 형성하는 것

나. 근심계단형 : 상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에 대해 하악 원심면이 근심위에 있는 것

다. 원심계단형: 상악 제2유구치의 원심면에 대해 하악의 원심면이 원심위에 있는 것

 이들 형의 출현율은 수직형이 가장 많다. 제2유구치의 교합관계는 치간공격 등과 관련해서, 그 후에 맹출하게 될 제1대구치의 교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혼합치열기의 특징

하악 중절치와 하악 제1대구치는 거의 같은 시기에 맹출을 개시하나, 하악중절치의 맹출이 약간 빠르다.

1)제1대구치 ,절치 맹출기 

상악 영구절치는 선행 유치근의 설측부터 흡수하며 치죽은 순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하악 영구절치는 선행 유치의 설측부터 흡수하며 설측으로 맹출하게 된다. 그후 유치가 탈락하면 설압 등의 작용으로 순측으로 이동하여 치열 내에 배열된다. 유치의 식립상태는 교합평면에 대해 거의 수직에 가깝다. 그러나 영구치는 순측경사가 커져서 상하악 치아의 치축각이 작아진다. 즉 유치의 교합력은 치근단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영구치의 치축이 근심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교합력도 치근단방향과 근심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한다. 또 작은 근심원폭경의 유치가 큰 근원심폭경의 치관을 가진 영구치로 교환되기 위해서는 유치열의 치간공격 이용, 영구절치의 순측경사, 치열궁 폭경의 증대가 일어나서 영구치열을 형성해 간다.

(1)미운오리 새끼 시기

상악중정치는 치축이 정중선에서 원심방향으로 맹출하기 때문에 정중이개가 나타난다. 그 후 중절치는 측절치가 맹출함에 따라 근심 이동하게 된다. 견치까지 맹출하면 정중이개는 없어지며 정상적인 치열로 조정된다. 이와 같은 맹출과정의 모습은 언뜻 보기에 맹출이상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정상적인 발육과정의 한 현상이다. 안데르센 동화의 이름에서 따서 미운 오리새끼 시기라고 명명하였다.

반응형